플라나리아 |
---|
![]() |
생물 분류 |
|
속 |
|
플라나리아는 플라나리아과를 구성하는 편충에 속한다. 플라나리아과에 속하는 이 편충은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주로 민물에서 나며, 하천이나 호수 및 돌 위에서도 가끔 찾아 볼 수가 있다.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편평하고 몸의 크기 또한 다양하다. 대부분 검은 회색 빛을 띄고 있다. 이것은 자웅 동체이며, 몸의 앞면과 뒷면, 등과 배의 표면이 좌우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몸의 형태로 인해 활동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은 내부적으로 결합하여 알을 수정시킨다. 다른 무척추 동물과는 달리, 플라나리아는 호흡 및 순환 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이 생물은 사람에게 어떠한 병이나 해를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원생동물에 속하는 육식 동물이다.
플라나리아는 편형동물에 속하고 아주 작으며, 납작하고 (체강이 없기 때문에) 잎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 몸의 색상은 검정색, 회색, 하얀색, 그리고 갈색으로 분류된다. [1] 몸의 길이는 대부분 3mm 부터 12mm, 그리고 .30cm 부터 2.54cm 로 다양하다. 플라나리아는 등쪽 부분에 둥근머리를 가지고 있다. 이 머리 부분에는 감각 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홑눈이라고 불리는 더듬이가 있다. 홑눈과 여러 감각기관들로 인하여 플라나리아는 밝은 빛에서 조금 민감하고 예민하며, 환경 변화를 빨리 느낀다.
플라나리아는 좌우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평등하게 반쪽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체강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세개의 세포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배엽, 내배엽, 그리고 중배엽으로 나뉘어져 있다. 외배엽은 가장 바깥쪽에 있는 계층으로 동물을 이동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보호한다. 내배엽은 가장 안쪽에 있는 계층으로 소화 기관을 형성하고 있다. 중배엽 외에 다른 층들 또한 많은 장기 기관들과 몸의 기관들을 발달 시켜 준다. [2]
플라나리아는 먹이를 찾으려면 이동을 해야한다. 먹이를 먹기 위한 두가지의 운동법이 있는데, 그것은 근육 활동과 섬모 또는 솜털이다. 첫 번째 방법은 근육의 수축을 이용 하는 것이므로, 근육에 수축 되어 있는 표피 아래의 움직임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끈적끈척한 점액층을 분비하고 있는 수많은 섬모를 이용 하는 운동이며, 이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있다. 섬모는 옆측면과 등쪽 측면에만 있으며 머리 부분에는 없다. 또한, 복부쪽에 있는 섬모는 운동중에 반응 하지 않는다. [3]
플라나리아는 소화기관이 잘 발달 되어 있다. 이것의 소화 기관은 입, 인두, 그리고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나리아의 입은 복부 표면쪽에 있으며, 튜브(관)와 같은 인두는 입과 장 사이 중간에 위치 하고 있다. 이 생물은 육식 동물 이기 때문에 벌레와 작은 동물, 또는 죽은 동물을 먹고 산다. 편무충, 섬모충, 포자충, 그리고 선충과 같은 원생 동물을 좋아한다. 이러한 종류의 음식은 입으로 빨아와 인두를 통해 장으로 넘어가게 되고,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여 완전히 소화시키게 된다. 플라나리아의 위수강이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배출할 곳이 없기 때문에 음식이 입을 통해 다시 밖으로 나온다. 게다가 이 생물은 주로 밤에 활동하고 움직이면서 먹이를 찾는다. [4]
얇은 몸으로 인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부딪히면서 확산된것이 피부표면에 발생한다. 이것은 배출하는 것을 돕기위해 많은 관과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관은 중배엽부터 시작해 튜브의 맨 끝 부분에있는 불꽃 세포까지 뻗어져 있다. 또한, 관의 흐름을 유지하고 불필요 한 것들을 걸러주는 중요한 역확을 하는 몇몇의 섬모(솜털)를 포함하고 있다.(토마스 베란다, p.457). 이 배설계는 과도한 물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데 도움을 준다. [5]
평면형의 플라나리아는 다른 무척추 동물과는 달리 사다리 형태의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 [6] 작은 두뇌와 두개의 신경삭이 있다. 플라나리아의 안점 밑에있는 두뇌는 두개의 신경절과 무수한 신경 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접합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신경절은 두뇌로부터 가로지르는 접합면과의 연결로 하여금 뻗고있다. [7]
플라나리아는 혈관과 혈이 없기 때문에 호흡 기관과 순환 기관이 부족하다. [8]
플라나리아는 자웅 동체 동물(고환과 난소를 포함 함)이기 때문에 무성 생식과 교미에 의한 유성 생식으로 분류 된다. 고환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반면, 난소는 한 쌍 밖에 포함하고 있지 않다. 난소는 생물 앞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환은 음경에 연결되어 있다. [9] 줄기 세포를 기반으로 자신의 잃어버린 부분을 재생성 할수 있는 굉장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무성 생식때,플라나리아는 재생력이 강하여 몸을 반으로 나누었을 때에 자신의 몸을 다시 회생시킬 수가 있지만, 회생되지 않을 때가 종종 있기도 하다.
유성 생식 때, 두 플라나리아는 무성 생식 대신 각각의 정자를 서로에게 제공 하여 준다. [10] 이 두 플라나리아는 자신의 파트너와 함께 수정을 하며 짝짓기를 한다. 짝짓기를 한 후, 알을 낳고 풀숲이나 물안에 들어간다. 약 2-3주 후에 알이 부활되며, 그 후 계속 성장해 나간다. (토마스, p457)
플라나리아는 전 세계에 있는 바다와 1급수 물에서 많이 서식하고 있다. 그 중, 1급수 물에서 서식하는 프라나리아는 대부분 강과 호수 등 습한 지역에서 찾을 수 있지만, 일부는 아니다. 육지에서 서식하는 플라나리아는 습한 지역보단 어두운 장소를 좋아한다. 그래서 주로 바위 아래, 통나무, 흙, 풀, 또는 동굴에서 서식한다. [11] 다른 종의 생물들이 온도에 상관없이 모든 장소에 살고 있을때, 플라나리아는 대부분 온도가 낮고 차가운 곳의 장소에서 사는 것을 좋아한다. 육식을 주로 먹는 플라나리아는 인두를 사용하여 썩은 동물, 벌레(특히 지렁이), 달팽이, 또는 기타 작은 동물등의 먹이를 먹는다.
과학자들은 생물의 재생 능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깊은 연구를 하였다. 그들은 신성 세포라고 불리는 줄기 세포가 플라나리아의 신체부위를 재생 시키는 역활을 도와 준다는 것을 발견하고, 재생 실험에 많이 이용 하기도 하였다. [12] 플라나리아의 줄기 세포는 성인 플라나리아를 대신 하기도 하며, 인간의 줄기 세포와도 비슷하다. 필립 뉴마크라는 과학자는 그의 실험에서 동물들의 줄기 세포는 단백질이 없이도 감소 될수 있다는 것을 증명 하였다. 그러므로 인해 줄기 세포가 줄어들면서 재생 할수 있는 능력 또한 줄어든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13]
{{#ev:youtube|8Ew3yupNMF8}}